512;계 : 때때로 소양감, 두드러기가 나타날 수 있다.
(6) 자율신경계 : 때때로 구갈이 나타날 수 있다.
(7) 간 및 담도계 : 때때로 담낭결석이 나타날 수 있다.
(8) 시각계 : 때때로 알러지성 결막염이 나타날 수 있다.
(9) 중추/말초신경계 : 때때로 현기증, 두통이 나타날 수 있다.
(10) 혈소판, 출혈 및 응고 : 때때로 혈소판 감소증이 나타날 수 있다.
(11) 방어기전 : 때때로 상기도감염이 나타날 수 있다.
3) 시판 후 조사에서 나타난 이상반응
(1) 국내 시판 후 조사 : 국내에서 재심사를 위하여 6년동안 34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 후 사용성적조사 결과 이상반응의 발현율은 인과관계와 관계없이 0.38%(13명/3425명, 16건)로 보고되었고, 이 중 이 약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약물유해반응은 0.26%(9명/3425명, 12건)이었다. 보고된 약물유해반응은 소양증, 가슴쓰림 각 0.06%(2명/3425명, 2건), 하지무력증, 오심, 소화불량, 복통, 변비, 조갈증, 말초부종, 피로 각 0.03%(1명/3425명, 1건)로 보고되었으며, 이 중 예상하지못한 약물유해반응은 0.06%(2명/3425명, 2건)로 말초부종, 하지무력증 각 0.03%(1명/3425명, 1건)로 보고되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