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자 및 체액량이 정상인 것으로 보이는 환자에게서도 보고되었으며 체액과다, 폐혈관 투과성 증가 및/또는 좌심실 탄성/수축력감소(좌심실기능저하)등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다. 이 약 투여 첫 1-3일 동안,어떤 환자들은 사구체 여과율이 갑작스럽게 일시적으로 저하되고 소변량이 감소되어 그 결과 혈청 creatinine농도 증가를 보였다. Cytokine의 대량 유리로 인해 가역적인 신기능 손상 및/또는 이식된 신장의 기능 지연이 유발되는 것처럼 보인다. 이와 비슷하게, 이 약을 처음 몇 차례 투여한 후 간 트랜스아미나제의 일시적 상승이 보고되었다. 불안정성 협심증, 최근에 나타난 심근 경색, 증상이 있는 허혈성 심질환,심부전,폐부종, 만성 폐색성 폐질환, 혈액량 과다 혹은 부족(예, 과도한 투석, 최근의 과도한 이뇨, 실혈 등), 뇌 혈관 질환, 진전된 증후성 혈관 질환 또는 신경병증, 발작병력, 패혈성 쇼크 등의 질환이 있는 환자들은 cytokine 유리 증후군의 좀 더 심각한 합병증이 나타날 위험이 있으므로, 이 약으로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기존상태를 교정하거나 안정화 시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