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화 (예를 들어,조증 등), 긴장 저하, 과다 반사 항진, 간대성 근경련, 의식혼탁,고정 자세 불능, 불수의 운동, 중추신경계감염, 중추신경계악성 종양, 뇌 혈관 장애, 편측부전마비/편측마비 , 일과성 허 혈, 두개 내 출혈.
(9)근골격 계: 관절통, 관절염 , 근육통, 경 직 /통증.
(1O) 특수 감각계: 실명,혼탁한 시야, 유두 부종, 복시, 청력 소실. 중이염. 이명 , 현훈, 제 6 뇌신경 마비 , 광선 공포증, 결막염 , 비폐색 및 이폐색.
(11) 신장: 무뇨증/핍뇨증, 고질소혈증, 이식편의 기능 지연, 신(기능)부전, 대개 cytokine 방출 증후군과 관련되어 일시적이고 가역적이며 때때로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소변중 세포 검사 결과 (손상된 림프구의 박탈, 수뇨관 세포, 세포원주 포함)
4. 일반적 주의
1) 환자의 체온이 378"C(100"F)를 초과할 때에는 이 약을 투여하기 전에 일단해열제로 체온을 낮추어야한다. 감염 가능성도 평가해 봐야한다.
2) 심 한 cytokine 유리 증후군과 아나필락시스 반응급성 과민반응(예, 아나필락시스, 혈관부종 등)과 cytokine 유리 증후군을 구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구분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ᇣ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