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타난감염은 단순 포진 바이러스(환자의 5%, 이 중 20%는 중증),진균(환자의 4%, 이중 75%는 중증), 거대 세포 바이러스(환자의 3%, 이 중 33%는 중증)에 의한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동안 그 외의 심각하거나 생명을 위협할 정도의 감염은보고되지 않았다. 급성 간이식 거부반응에 대하여 치료를 받은소아환자들을후향분석해 본 결과,이 약으로 치료받은 환자들에게서 가장 흔히 나타난 감염은 세균(47.f%),진균(20.7%), 거대 세포바이러스(18.8%), 단순 포진 바이러스(f5%),아데노바이러스(7.5%), Epstein-Barr 바이러스 (7.5%)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약으로 치료 받은 환자들(n=53)과 스테로이드 제제만으로 거부 반응을 치료받은 환자들(n=27)에서 나타나는 바이 러스, 진균, 세균 감염의 전반적 인 발생률은모두 비슷했다. 간 동종 이식술을 받은 소아 환자 f49명 중 스테로이드 치료에 효과가 없는 거부반응 59예에 대해 이 약으로 치료한 다른 임상 연구 결과, 이약을 투여 받은 환자들과 투여 받지 않은 환자들 사이 에 전신성 거대세포바이러스감염율만이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테로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