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제조사 |
|
경동제약 (Kyung Dong Pharm ) |
|
|
|
|
|
판매사 |
|
경동제약 (Kyung Dong Pharm ) |
|
|
|
|
|
조성 |
|
cefazolin sodium 1g |
|
|
|
|
|
|
|
|
[바이알]
백색내지 엷은 황백색의 결정 또는 결정성 가루가 든 무색 바이알 |
|
|
|
|
|
|
KIMS 분류 |
8b - 세팔로스포린계 |
복지부 분류 |
618 - 주로 그람양성, 음성균에 작용하는 것 |
|
|
ATC Code |
J01DB04 - Cefazolin |
|
|
포장정보 |
1's, 5's, 10's, 50's |
|
|
|
|
효능/효과 |
|
1. 유효균종: 폐렴연쇄구균, 클레브시엘라, 인플루엔자균, 포도구균, 대장균,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 엔테로박터, 연쇄구균, 장내구균.
2. 적응증.
1)기관지염, 폐렴, 인후두염 등 호흡기 감염증.
2)요로감염증.
3)피부 및 연조직감염증.
4)담관염, 담낭염.
5)골 및 관절감염증.
6)전립선염, 부고환염 등 생식기감염증.
7)패혈증, 심내막염. |
용량/용법 |
|
1. 성인: 세파졸린으로서 1일 1g(역가)을 2회 분할 정맥 또는 근육주사한다.
2. 소아: 1일 체중 Kg당 20-40mg(역가)을 2회 분할 정맥 또는 근육주사한다.
3. 증상 및 감염균의 감수성에서 효과가 불충분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1일 성인은 1.5-3g(역가), 소아는 체중 Kg당 50mg(역가)을 3회 분할 주사한다. 증상이 특히 중증의 경우에는 1일 성인은 5g(역가), 소아는 체중 Kg당 100mg(역가)까지 투여할 수 있다.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주사액의 조제.
정맥주사 시는 주사용수, 생리식염주사액 또는 5% 포도당 주사액에 녹여 주사한다. 점적 정맥 주사 시 녹일 때 주사용수는 사용하지 않는다(등장액이 아님.).
근육주사 시 0.5% 리도카인주사액 2-3mL에 녹여 주사한다. 또한 온도에 의한 용해도 차에 의하여 가끔 백탁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는 온탕으로 따뜻하게 하여 투명한 용액으로 만든 후 사용한다.
용해 후 신속히 사용하고 보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차광하여 실온에서 48시간이내에 사용한다. |
금기 |
|
1. 이 약에 의하여 쇽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세팔로스포린계 항생물질에 과민반응 환자.
3. 리도카인 등의 아닐리드계 국소마취제에 과민반응의 병력이 있는 환자(근육주사에 한함.). |
신중투여 |
|
1. 이 약 또는 세펨계 항생물질에 과민반응의 병력이 있는 환자에는 투여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부득이 투여할 경우에는 신중히 투여한다.
2. 페니실린계 항생물질에 과민반응의 병력이 있는 환자.
3. 본인 또는 부모, 형제가 기관지천식, 발진, 두드러기 등의 알레르기 증상을 일으키기 쉬운 체질인 환자.
4. 중증의 신장애 환자(혈중농도가 지속되므로 투여간격을 두고 사용한다.).
5. 경구섭취가 불량한 환자 또는 비경구영양 환자, 고령자, 전신상태가 나쁜 환자 (비타민 K 결핍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한다.).
6. 위장관질환의 병력이 있는 환자(특히, 대장염). |
이상반응 |
|
1. 쇽: 드물게 쇽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불쾌감, 구내이상감, 천명, 어지러움, 변의, 이명, 발한 등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2. 과민반응: 아나필락시양 증상(호흡곤란, 전신 홍반, 맥관부종), 발진, 두드러기, 홍반, 가려움, 발열, 두통, 관절통, 수포, 작열감 등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3. 혈액계: 드물게 과립구 감소, 호산구 증가, 용혈성 빈혈, 혈소판 감소, 호중구 감소, 백혈구 감소, 고혈소판혈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4. 피부: 스티븐스-존슨증후군, 독성표피괴사용해가 나타날 수 있다.
5. 간장: 드물게 AST, ALT, ALP의 상승 등의 간기능 이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신중히 투여한다. 또한 이와 함께 황달 등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6. 신장: BUN 상승 드물게 혈청크레아티닌 상승, 급성 신부전 등의 중증의 신장애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검사를 실시하는 등 충분히 관찰하고 이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7. 소화기계: 드물게 위막성대장염 등의 혈변을 수반하는 중증의 대장염이 나타날 수 있다.
복통, 빈번한 설사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즉시 투여를 중지하는 등 적절한 처치를 한다. 또한 때때로 구역, 구토, 식욕부진, 아구창 등이 나타날 수 있다.
8. 호흡기계: 드물게 발열, 기침, 호흡곤란, 흉부 X선 이상, 호산구 증가 등을 수반하는 간질성 폐렴, 호산구성 폐침윤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코르티코이드 투여 등 적절한 처치를 한다.
9. 중추신경계: 신부전 환자에 대량 투여 시 경련 등의 신경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10. 균교대증: 드물게 구내염, 칸디다증이 나타날 수 있다.
11. 비타민결핍증: 드물게 비타민 K 결핍증상(저프로트롬빈혈증, 출혈경향 등), 비타민 B군 결핍증상(설염, 구내염, 식욕부진, 신경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12. 기타: 드물게 두통, 전신권태감, 생식기, 항문 가려움(음문 가려움, 생식기 모닐리아증, 질염)이 나타날 수 있다. |
임부투여안전성 |
|
성분명 |
미국 FDA 분류 |
호주 ADEC 분류 |
cefazolin Na |
|
|
|
|
최종수정일 : 2011-07-0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