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법 치료에 실패한 유방암 : 다음은 유방암의 3상 임상시험에서 이 약을 단독으로 투여받은 458명의 환자에 나타난 주요 이상반응의 발생율을 나타내었다.
1차 화학요법 치료에 실패한 또는 6개월 이내의 보조화학요법 유방암 3상 임상시험에서 나타난 주요 이상반응 발생율a
a : 최악의 코스분석을 기초로 함
b : 이 약 용량(mg/m2)/점적 시간(hour)
c : 전처치 받은 모든 환자
d : 중증 반응은 최소 3급 독성으로 정의함
골수억제와 말초신경병증은 용량과 관련이 있다. 135mg/m2 용량에서 중증의 과민반응 1건이 관찰되었다.
유방암의 보조치료 : 다음은 유방암 보조치료의 3상 임상 시험에서 안전성 평가가 가능한 3121명의 환자(총 집단)와 다른 환자들보다 집중적으로 모니터된 325명의 환자(초기 집단)에 나타난 주요 중증 이상반응의 발생율을 나타낸 표이다.
유방암 보조치료 3상 임상시험에서 나타난 주요 중증b 이상반응 발생율a
a : 최악의 코스분석을 기초로 함
b : 중증 반응은 최소 3급 독성으로 정의함
c : 시클로포스파미드 600 mg/m2 와 독소루빈 60 mg/m2 , 75 mg/m2 또는 90 mg/m2 (예방 G-CSF support 와 시프로플록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