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13; 환자(증상을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
4. 이상반응
단일요법에서의 이상반응
다음은 이 약을 단일요법으로 투여한 고형암 환자 812명을 대상(난소암 493명 유방암 319명)으로 한 10개의 임상시험에서 유발된 이상반응들이다. 이상반응의 발현빈도 및 정도는 이 약을 투여받은 난소암, 유방암 또는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대개 유사하였다. 관찰된 독성들은 연령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 약을 단독 투여 받은 고형암 환자에서의 이상반응 요약a
a : 최악의 코스분석을 기초로 함
b : 전처치 받은 모든 환자
c : 점적 첫 3시간 중
d : 중증 반응은 최소 3급 독성으로 정의함
각 질환별 이상반응
난소암 1차 요법제로써 병용요법 : 다음은 난소암 병용요법의 3상 임상시험에서 안전성 평가가 가능한 1,084명의 환자에 나타난 주요 이상반응의 발생율을 나타내었다. 두 개의 임상시험에서 안전성 분석은 치료의 모든 코스(GOG-111은 6코스, intergroup study는 9코스 이상)에 근거로 하고 있다.
난소암 1차 요법 3상 임상시험에서 나타난 주요 이상반응 발생율a
a : 최악의 코스분석을 기초로 함
b : 이 약 (T),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