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였다.
일본에서 실시된 위암의 제2상 임상시험에서 이 약 210mg/m2/3시간을 단독으로 투여 받은 107명의 환자에 나타난 주요 이상반응의 발생율을 나타내었다.
이 약을 단독 투여 받은 위암 환자에서의 주요 이상반응 요약
( ) : 중증 반응 발생율(최소 3급 독성으로 정의함)
일본에서 실시된 위암의 제2상 임상시험에서 이 약 210mg/m2/3시간을 단독으로 투여 받은 환자에서 사망이 2예가 있었다. 1례는 이 약 투여로 나타난 백혈구 감소에 의한 감염증 사망이었으며 나머지 1례는 종양에 의한 사망이었다.
발현부위별
1) 혈액학 : 골수억제는 주요한 이 약의 용량제한독성이었다. 호중구감소증(가장 중요한 혈액학적독성)은 용량과 스케줄 의존적이었으며 보통 빠르게 회복되었다. 이 약 175mg/m2 3시간 동안 점적투여하는 난소암 3상 임상시험 결과, 심각한 호중구 감소증(< 500cells/mm3)이 환자의 27%에서 나타났으나, 발열반응과 관련되어 있지는 않았다. 심각한 호중구 감소증을 경험한 환자의 1%만이 그 증상이 7일 이상 지속되었다. 호중구 감소증은 방사선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환자에 |